TRIZ 이론 역사와 실제 적용 사례
창의성 이론 중에 가장 널리 알려진 TRIZ에 대해서 공부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TRIZ는 옛날 러시아, 소련의 겐리히 알트슐러(Genrich Altshuller)에 의해서 개발이 됐습니다. 알트슐러는 기존 40만 개의 특허를 연구 분석해서 40가지 창의적 문제 해결 방법을 발견했습니다. TRIZ는 혁신적이고 창의적인 발명 기법으로 기능적 사고, 모순 해소를 하는 데 쓰입니다. 기술 예측 등을 했는데요. 페레스트로이카를 맞으면서 이제 자유세계로 널리 퍼지게 되었고요. 비교적 최근에 경영, 관리, 정치, 교육 등 그 응용의 영역이 널리 확대되고 있습니다.
TRIZ 뜻과 도입
TRIZ는 무슨 뜻이냐 하면, 영어로 Theory of Inventive Problem Solving의 앞 글자를 딴 약자입니다. TRIZ가 TIPS 하고 매치가 되지 않는 이유는 바로 TRIZ의 이 앞 자는 Theory of Inventive Problem Solving 러시아어 약자를 땄기 때문입니다. TRIZ는 1946년에서 1963년 사이에 그 이론이 구축되었습니다. 그리고 1959년부터 ARIZ를 통해서 쭉 발전이 돼 오다가 1991년에 TRIZ는 미국으로 넘어가게 됩니다. 그 이후에 우리나라는 1997년에 처음 TRIZ를 도입하게 되었습니다. TRIZ는 주어진 문제의 가장 이상적인 결과를 얻어내는 데 걸림돌이 되는 모순을 찾아내고 이를 극복함으로써 혁신적인 정답, 답, 해결을 구하는 창의적 문제 해결 이론입니다. 조금 전에 말씀드린 것처럼 겐리히 알트슐러가 세계 특허 중 20만 건의 혁신적인 특허를 분석해서 논리적 과학에 기반을 둔 아주 혁신적이고 창의적인 문제 해결 기법을 고안했습니다. TRIZ는 옛날 러시아, 구소련 시절 공산주의 체제 하에서 러시아를 중심으로 초등 교육에서부터 대학 교육까지 여러 공학적, 엔지니어링적인 문제 해결을 하는 기법으로 알려져 있었지만, 창의적인 문제 해결이 가장 필요한 경영 경제에 응용이 과거에는 되지 못했습니다. 최근에 와서야 TRIZ가 정치, 사회, 경제 분야에 폭넓게 적용이 되는데요. 모순 행렬의 이용을 통해서 보다 이용이 명확하고 편해졌다고 할 수 있습니다. TRIZ 전에 기업에서 쓰이는 대표적인 기법이 TQM(전사 품질관리), 6 시그마 같은 것들이 존재했습니다. 이러한 Total Quality Management나 6 시그마 같은 것들이 주로 기업에서는 품질 개선이나 원가 절감에 초점을 맞췄다고 할 수 있는 반면에 TRIZ는 제품을 만들어 내거나 생산라인, 작업 시스템을 혁신적으로 바꾸는 창조적 혁신에 이용이 되고 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 General Electric, 포드, 보잉, 제록스 등 많은 해외 기업들은 TRIZ를 이용해서 신제품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도 1996년에 LG, 삼성 등이 제품 성능 개선 등에 TRIZ를 이용했고요. 최근에는 우리 기업들도 역시 신제품 개발, 서비스 개선 등에 TRIZ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사실 삼성, LG 기업들은 창의적인 문제 해결과 신제품 개발을 위해서 이 구성원들에게 TRIZ 교육을 해왔습니다.
TRIZ 통한 창의적 문제해결 사례
이제 TRIZ를 통한 창의적 문제 해결 사례 하나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P&G는 여러 가지 상품이 있는데, 가장 유명한 P&G 상품 중에 하나가 아이들 기저귀입니다. P&G사 아이 기저귀의 방수 소재를 개발하는 데 있어서 이들이 어떻게 TRIZ를 사용해서 이 기능을 혁신적으로 개선하는가 고민을 한 사례입니다. 예를 들어서 기저귀에는 물을 흡수하는 소재가 있고 그것을 덮는 비닐막이 있는데, 비닐막이 촘촘히 돼 있으면 물이 스며들지 않습니다. 그런데 너무 크면 다 빠져나오죠. 그래서 어떻게 이 구멍을 효율적으로 뚫어야 하는가. 구멍을 촘촘히 많이 뚫으면 좋은데, 그러면 인장력이 떨어지는 겁니다. 그래서 P&G에서 아이디어 아웃소싱을 하게 됩니다. 누구에게? 이노베이션 전문가에게 하게 됩니다. 즉, TRIZ 전문가가 투입된 겁니다. TRIZ 전문가는 벤치마킹하는 기술을 찾아봅니다. 여기서 벤치마킹 한 기술이 뭐였느냐 하면, 바로 수많은 물자들이 우주선에 부딪혀서 우주선이 망가지는데요. 이것들을 막기 위한 기술들을 거기에 적용한 겁니다. 우주에는 많은 광속의 물질들이 우주선에 부딪히는데, 이 피해를 막기 위한 기술을 기저귀에 적용한 겁니다. 즉, 광속으로 이러한 우주에 입자 같은 물자를 쏘아서 작은 구멍들을 기저귀 표면에 내도록 하여서 문제를 해결했습니다. 다음에는 2000년대에 처음 등장한 일본 산요의 초음파 세탁기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반적으로 지금도 그렇지만, 세탁을 하면 세탁기에 빨래를 넣고 그다음에 세탁기를 돌리죠. 그런데 이들은 정반대의 사고를 합니다. 세탁기에 옷을 넣는 것이 아니라, 옷에 세탁기를 넣으면 어떨까 하는 겁니다. 그래서 큰 통에 옷을 담고 조그마한 세탁기를 그 안에 넣어서 세탁을 하는 새로운 세탁기를 개발하게 됩니다. 바로 이것은 TRIZ 이론 13번째, '반대로 하기' 이론을 적용한 사례입니다. 혁신적 제품으로 널리 알려진 올리소 사례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올리소의 오토 리프트 다리미 사례를 한번 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반적으로 다리미는 옆에 놓으면 점점 그 판이 뜨거워지죠. 또 그러다 보니까 옷감에 대면 어떻습니까? 옷감이 타기도 합니다. 그래서 올리 소는 옷을 태우지 않는, 그러나 뜨거우면서 너무 뜨겁지 않은 다리미를 고안했습니다. 그래서 이 올리소의 오토 리프트 다리미는 옷감에 닿을 때만 열이 발생합니다. 옷감에서 떼면 열이 식기 시작합니다. 이 올리소의 오토 리프트 다리미는 2006년 최고의 상품으로 선정이 되었습니다. 다이슨의 또 하나의 혁신적인 상품을 보도록 하겠습니다. 바로 날개 없는 선풍기입니다. 이 날개 없는 선풍기는 우리가 '선풍기는 날개가 있어야 된다. ' 이렇게 알고 있는 아이디어를 혁신적으로 바꾼 제품입니다. 바로 이 원통의 고리를 옮겨놓은 듯한 모양을 갖고 있는데, 사실 밑에서 압력을 통해서 이 테두리에 있는 작은 틈으로 바람이 발생하는 선풍기입니다. 어쨌든 이 선풍기는 뭡니까? 디자인에서도 우수하고 아주 보기가 좋지만, 실질적으로 아이들이 손을 다친다거나 하는 위험이 전혀 없는 안전한 선풍기로 평가를 받습니다. 다이슨의 또 다른 혁신 상품, 바로 필터 없는 진공청소기입니다. 이걸 개발하기 위해서 무려 5,127번의 시제품을 만든 겁니다. 만들고, 만들고, 이것을 5,127번을 한 겁니다. 즉, 이 제품은 5,127 버전을 갖고 있습니다. 원리가 어떻게 될까요? 필터가 없는 청소기, 상상을 못 할 일이죠. 왜냐하면, 먼지 같은 오물들이 필터에서 걸러져야 하는데. 이들이 사용한 기술은 바로 원심력입니다. 모토가 빨리 돌면 공기는 통과하지만 물질은 벽에 붙는다는 겁니다. 즉, 세탁기 빨리 돌리면 벽에 붙죠? 바로 그 원리를 이용해서 오물들을 벽에 붙이는 기술을 사용했습니다. 오늘 TRIZ의 역사와 TRIZ가 어떻게 만들어지고 어떻게 발전해왔는가에 대해서 공부했습니다.
'미래창업, 인공지능, TRIZ, 4차 산업혁명' 카테고리의 다른 글
TRIZ의 6단계 문제 해결 프로세스 구체적 방법 (0) | 2022.07.23 |
---|---|
TRIZ 이론의 조건과 논리적 모순 (0) | 2022.07.23 |
창의성의 개념과 역사 (0) | 2022.07.22 |
고객욕구, 제품, 미래 시장 전망 (0) | 2022.07.22 |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 기술과 트렌드 (0) | 2022.07.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