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래창업, 인공지능, TRIZ, 4차 산업혁명

TRIZ의 40가지 이론과 사례 -2-

TRIZ의 40가지 이론과 사례 -2-

TRIZ의 40가지 이론과 사례 -2-
TRIZ의 40가지 이론과 사례 -2-

TRIZ 이론 열한 번째, 사전예방조치(사전 완충작용)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전예방조치는 미리 사전에 나쁜 상태가 되는 것을 막는 것을 의미합니다. 독감주사나 수두 주사가 그 예가 될 수 있고요. 예를 들어서 벽에 금이 간다든지 할 때 콘크리트 같은 액체를 캡슐 안에 집어넣어서 만약 벽에 금이 갔을 때 캡슐이 깨져서 이것들이 흘러나와 벽의 틈을 메우는 이런 형태의 사례가 사전예방조치라고 볼 수 있습니다. 지진이 많이 나는 일본의 경우에는 지진이 나서 집이나 건물이 흔들릴 때 집과 건물들이 진동에 맞춰서 같이 흔들리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이것 사전예방조치의 사례라고 볼 수 있습니다.

TRIZ 이론 - 높이 맞추기

다음은 12번, 높이 맞추기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높이 맞추기는 같은 높이에서 물건을 움직이는 것입니다. 아프리카에서는 먼 데 가서 물을 길어왔습니다. 아침 일찍이 머리에 큰 물통을 이고 가서 거기에 물을 담아 힘겹게 물을 가져왔습니다. 짧게는 30분, 1시간이었고 길게는 2~3시간을 물을 깃는 데 소비를 했습니다. 높이 맞추기 이론에 의하면, 어떻게 이 무거운 물체를 들지 않고 이동을 할 수 있을까. 바로 가운데에 구멍을 내고 줄이나 막대를 이용해서 이것을 끌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시간도 절약이 되고 상당히 많은 고생을 줄일 수 있었습니다. 이집트에 가면 큰 피라미드가 있죠. 피라미드는 사실 하나하나의 큰 벽돌로 쌓은 구조물입니다. 이러한 큰 돌덩어리들을 어떻게 먼 곳에서 날랐을까요? 바로 둥그런 막대들을 밑에 깔아서 그 위에 몇 톤에 해당되는 돌을 굴려서 이동을 한 겁니다. 이 역시 높이 맞추기에 해당이 됩니다.

TRIZ 이론 - 반대로 하기

TRIZ 이론 13번째, 반대로 하기에 대해서 공부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반대로 하기 이론은 문제를 정반대에서 접근한다는 뜻입니다. 예를 들어서 자동차 주행 테스트를 할 경우에 자동차가 길 위를 달리는 게 아니라, 자동차는 가만히 있고 컨베이어 벨트는 움직입니다. 이런 사례를 반대로 하기의 사례로 볼 수 있습니다. 사람들이 러닝머신에서 뛰죠. 사람이 거리를 걷는 게 아니라 거리가 움직인다고 볼 수 있습니다. 비슷한 사례로 욕조에서 수영하기가 있습니다. 욕조 앞에서 강한 물을 뿌려서 사람이 그 안에서 다람쥐 쳇바퀴 돌듯이 계속 수영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이것 역시 반대로 하기의 사례가 되겠습니다.

TRIZ 이론 - 곡률 증가(구형화)

14번 이론은 곡률 증가(구형화)가 있습니다. 이는 비 곡선 구형을 곡선 또는 구형으로 바꾼다는 이론입니다. 여러분이 아시다시피 자동차의 천장이나 오토바이의 헬멧은 공기의 저항을 줄이기 위해서 곡선화 돼 있습니다. 또 다른 하나의 예를 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옛날에 피자박스는 그림에서 보다시피 아주 평평하게 되어 있었습니다. 그런데 피자가 하나, 둘, 셋, 넷 쌓이면서 위에서부터 무게가 눌려서 피자박스 윗면이 피자에 닿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곤 했습니다. 그래서 고안한 게 뭐냐 하면, 피자의 바닥을 이렇게 곡선화 시킨 겁니다. 그래서 눌러도 다시 얘가 밑으로 내려가지 않고 평 면화되는 식으로 피자박스를 개선하였습니다.

TRIZ 이론 - 역동성(자유도 증가, 동적 부품)

15번 이론을 보도록 하겠습니다. 15번은 역동성(자유도 증가, 동적 부품)을 말합니다. 가장 흔한 예가 각각 움직일 수 있는 부품을 말합니다. 여러분, 트레일러라고 해서 큰 트럭이 물건을 싣고 모서리를 회전합니다. 그러면 어떻게 되겠습니까? 뒷바퀴가 보도 위로 올라오게 됩니다. 이것을 어떻게 해결했느냐 하면, 큰 트레일러 하나를 만드는 게 아니라 조그마한 트레일러를 2개, 3개 함으로 인해서 기차처럼 회전을 돌도록 하였습니다. 또 하나의 사례는 산악 자동차를 들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우리 자동차는 전륜구동 또는 후륜구동이라고 해서 2개의 바퀴만 동시에 움직입니다. 그런데 산악자동차의 바퀴는 하나하나가 따로 동력을 가지고 돌아갑니다. 그래서 큰 도로를 올라갈 때 한 바퀴는 따로 혼자서 돌을 넘고, 평지에 있는 바퀴는 천천히 보조를 맞춰서 돌아가게끔 각각 따로 노는 부품으로 만들었습니다.

TRIZ 이론 - 초과나 부족

16번 이론 보도록 하겠습니다. 초과나 부족. 지나치게 하거나 부족하게 한다는 겁니다. 여러분, 흔히 주차하다가 사이드미러가 옆 차에 걸리는 경우가 있었을 겁니다. 그런데 이거는 아예 사이드미러가 힘을 받아서 밀리면 완전히 젖혀집니다. 그러므로 인해서 사이드미러는 부러지는 상황을 방지하게 되는 겁니다.

TRIZ 이론 - 차원 바꾸기

17번 이론 보도록 하겠습니다. TRIZ 17번 이론은 차원 바꾸기(다른 차원으로 형성하기)입니다. 차원을 변경한다는 것인데요. 예를 들어서 장작을 쭉 쌓아놓습니다. 겨울에 시골에 가면 촘촘하게 옆으로 장작을 쌓아놓습니다. 그런데 어떤 힘에 의해서 장작이 불안정하게 흔들리면, 우르르 무너집니다. 그런데 이 눕혀놓은 장작을 오른쪽 그림과 같이 세워놓으면, 지진이 나도 웬만하면 장작이 쓰러지지 않습니다.

TRIZ 이론 - 진동을 이용

18번 이론을 보도록 하겠습니다. 18번 이론은 진동을 이용한다는 겁니다. 여러 가지 진동을 이용하는 사례들이 있는데요. 여러분이 잘 아시는 진동칫솔이 있고요. 우리가 흔히 건물에 콘크리트를 부을 때는 기포들이 들어갑니다. 그러면 그 기포를 어떻게 다지느냐 하면, 바로 진동 막대를 집어넣습니다. 그럼 진동을 하면 기포가 점점 위로 올라서 빠지게 됩니다. 또 하나 재미있는 것은 스마트폰에 전화가 왔을 때 진동으로 울리죠. 이것도 역시 진동의 사례라고 할 수 있는데요. 재미있는 또 다른 사례는 바로 진동 반지입니다. 두 사람이 잠에 들었습니다. 그런데 한 사람은 아침에 일찍 일어나야 되고, 한 사람은 일찍 일어나지 않아도 됩니다. 그래서 진동 반지는 알람 반지가 울리도록 하는 제품입니다.

TRIZ 이론 - 주기적 작용

19번 이론을 보도록 하겠습니다. 주기적 작용. 계속하는 것이 아니라 주기적으로 하는 겁니다. 화장실에 보면 플러싱이라고 해서 시간대가 되면 물이 내려와서 씻는 거, 이거 역시 주기적 사례라고 할 수 있고요. 또 잔디밭에 아침저녁으로 스프링클러를 물을 쫙 뿜습니다. 이것 역시 주기적 작용의 사례라고 할 수 있습니다.

TRIZ 이론 - 유익한 작용의 지속

TRIZ 20번 이론을 보도록 하겠습니다. TRIZ 20번 이론은 유익한 작용의 지속입니다. 계속 유익한 작용이 지속되도록 한다는 겁니다. 여러분, 제철소의 용광로는 필요할 때 용광로에 불을 지펴서 달군 다음에 쇠를 녹여서 물건을 만들거나 하지 않느냐 생각하는데, 그렇지 않습니다. 제철소의 용광로는 영원히 꺼지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항상 못을 녹여야 하고 용광로를 한 번 데우는 데 어마어마하게 큰 비용이 들어간다고 합니다. 그래서 용광로는 계속 뜨겁게 유지가 됩니다. 그 비슷한 예가 바로 아궁이의 불이에요. 옛날 시골에 가면 아궁이에 불씨가 24시간 남아 있습니다. 입으로 바람을 불면 다시 불이 살아나곤 합니다. 사실 얼마 전까지 저희가 연탄난로를 썼는데, 그럼 연탄난로는 언제 지폈나요? 초겨울에 한번 연탄난로에 불이 붙으면, 그다음 해 봄까지 꺼지지 않습니다. 계속 하나를 빼고, 하나를 집어넣습니다. 보통 2개가 연결되는데 하나가 꺼질 때 되면 다시 넣고 해서 24시간 계속 불이 타는 겁니다. 하나의 창의적 문제 해결 사례에 대해서 우리가 한번 같이 고민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여기 하나의 문제가 있습니다. 밸런타인데이에 초콜릿을 주고받는데요. 어떤 초콜릿은 안에 술이 들어있습니다. 여러분 생각에 초콜릿 안에 술을 어떻게 넣었을까요? 흔히 사람들은 속이 빈 병 모양에 초콜릿이든지 두 개를 만든 다음에 안에 술 집어넣고 두 개를 접합한다고 생각하는데, 과연 그렇게 술이 들어간 초콜릿을 만들까요? 사실 그렇지 않습니다. 먼저 술을 얼음에 얼립니다. 하트 모양이든지 병 모양이든지 술을 얼린 다음에 얼린 술에 분무기로 초콜릿을 뿌립니다. 그리고 냉각을 시킵니다. 그럼 바로 술이 들어간 초콜릿이 만들어지는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