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IZ의 이론, 기법, 활용
TRIZ의 이론, 기법, 활용에 대해서 공부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TRIZ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TRIZ 이론 40개 중에서 1번부터 20번까지의 이론과 함께 각 이론에 대한 사례를 공부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주요 TRIZ 이론과 연구
주요 TRIZ 이론과 연구를 우리는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 번째 것은 TRIZ를 이용한 창의적인 문제 해결입니다. 그래서 여러 가지 TRIZ 문제 해결 프로세스 모델들이 있고요. 여러 가지 프로세스 모델 중에서 TRIZ의 6단계 문제 해결 프로세스가 가장 널리 알려져 있는 프로세스 모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TRIZ의 두 번째 이론과 연구 분류에 바로 발명이 있습니다. TRIZ를 이용해서 발명을 하는 겁니다. 대부분 TRIZ의 40가지 이론을 이용해서 어떻게 새로운 물건이나 상품, 서비스를 만들어내는가 하는 겁니다. 먼저 TRIZ 기반의 문제 해결 프로세스의 예를 하나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프로세스는 문제의 인식으로 시작되고요. 다음에 문제의 정의 그리고 개념의 설계, 네 번째로는 아이디어의 실행, 마지막으로 평가로 마무리를 하게 됩니다. 문제인식에는 요구 관점 문제 인식, 문제 관점 문제 인식이 있습니다. 문제의 정의에는 최초 문제 정의, 진짜 문제 정의, 문제 점검으로 프로세스가 진행이 됩니다. 진짜 문제 정의는 기술적 모순을 도출하고 IFR을 정의하며 물리적 모순을 도출합니다. 문제 점검은 시스템 성장 곡선, 시스템 사고 등을 고려합니다. 개념의 설계는 아이디어를 창출하고 다음에 아이디어를 평가하며, 최적해를 선정합니다. 아이디어 실행에는 상세 설계, 설계 심사, 제작 및 실험, 발표 및 보고가 이루어집니다.
TRIZ의 6단계 문제 해결 프로세스
이제 TRIZ의 6단계 문제 해결 프로세스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6단계 문제 해결 프로세스는 먼저 1단계 '그림으로 표현', 2단계 '시스템 기능분석', 3단계 '이상적 해결책 가정하기', 4단계 '모순 찾기', 5단계 '요소 상호작용', 6단계 '해결책 평가'로 구성이 이루어져 있습니다. TRIZ를 이용한 문제 해결 방식과 기존의 문제 해결 방식에는 여러 가지 차이가 있습니다. 일반적인 문제 해결은 문제인식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생략됩니다. 그러나 TRIZ에서는 다양한 문제인식 방법이 제시됩니다. 일반적인 문제 해결 프로세스에 있어서 문제의 정의는 설문조사, 요구분석 등을 이용해서 자유롭게 정의를 하고 있는 데 반해서 TRIZ에서는 모순 기반의 진짜 문제 정의 방법 및 양식을 찾습니다. 일반적인 문제 해결 프로세스에서 개념 설계는 브레인스토밍 등에 의한 발산적인 접근을 하는 데 비해서 TRIZ에서는 분리원리로 모순을 해결하는 수렴적인 접근 방법을 사용합니다. 일반적인 문제 해결은 굉장히 그 방법이 익숙하고 사용, 접근이 용이한 데 반해서 TRIZ 기반 문제 해결 프로세스는 매우 구체적인 문제 해결 방향을 제공합니다. 또한 신뢰성 있는 결과의 반복적 획득이 가능합니다. 또한 발명적, 혁신적 해결안 도출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일반적인 문제 해결 프로세스의 단점으로는 개인 지식과 경험에 지나치게 의존적이라는 겁니다. 또한 신뢰성 있는 결과의 반복적인 획득을 보장하지 못한다는 겁니다. 반면에 TRIZ의 단점은 배우고 숙련되는 데 시간과 노력이 많이 소요된다는 것입니다. 또한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TRIZ 도구들을 복합적으로 활용해야 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미래창업, 인공지능, TRIZ, 4차 산업혁명' 카테고리의 다른 글
TRIZ의 40가지 이론과 사례 -2- (0) | 2022.07.24 |
---|---|
TRIZ의 40가지 이론과 사례 -1- (0) | 2022.07.24 |
TRIZ의 6단계 문제 해결 프로세스 구체적 방법 (0) | 2022.07.23 |
TRIZ 이론의 조건과 논리적 모순 (0) | 2022.07.23 |
TRIZ 이론 역사와 실제 적용 사례 (0) | 2022.07.23 |